Tip
2025년 한부모 가정이 받을 수 있는 지원, 총정리!
zerocool0713
2025. 6. 13. 20:43
반응형
“혼자서 아이 키운다고요? 그래도 나 혼자 아닙니다”
“월급날이면 학원비, 전세대출 이자 빠져나가고 나면 남는 게 없어요.
아이 둘 키우는데 아동양육비 20만 원, 그거라도 정말 큰 도움이 되더라고요.”
이건 실제로 복지로에서 아동양육비를 신청한 한부모 가정 A씨가 들려준 이야기예요.
2025년엔 이런 한부모 가정을 위한 정부 지원이 더 강화되었고, 신청 기준도 완화되었답니다.
혹시 나도 해당될까? 지금 바로 아래 내용 확인해보세요.
2025년 한부모 가정이 받을 수 있는 지원, 총정리!
✅ 1. 아동양육비: 자녀 1명당 월 20만 원
- 지원 대상: 만 18세 미만 자녀를 키우는 한부모 가정
- 소득 기준: 기존 중위소득 60% → 63%로 완화
-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
- 팁: 고3 자녀도 12월까지 지원 가능!
“저는 초2랑 고1 아이가 있는데, 두 아이 다 지원받고 있어요.
매달 40만 원이 들어오니, 학원비 부담이 확 줄었죠.” – B씨, 수원 거주
✅ 2. 청소년 한부모 추가양육비: 월 15만 원 추가
- 대상: 만 24세 이하 청소년 한부모
- 자녀당 월 15만 원 추가지급
- 아동양육비와 중복 가능
✅ 3. 주거 지원
3-1.주거급여
- 기준: 중위소득 48% 이하
- 내용: 전월세 비용 일부 지원 (보증금·월세 포함)
- 신청: 주민센터
3-2. 공공임대 우선 공급
- 한부모 특별 가점이 있어서 영구임대, 매입임대 우선 배정 가능
- 신청처: LH(한국토지주택공사), SH(서울주택도시공사)
✅ 4. 교육 지원
교육급여
- 교복, 교과서, 수학여행비, 급식비 등 전액 지원
- 중위소득 50% 이하 대상
- 신청처: 아이가 다니는 학교
✅ 5. 의료비 지원
- 의료급여 1·2종으로 진료, 약값, 입원비 감면
- 차량·재산 기준 완화돼 진입 장벽 낮아짐
- 신청처: 주민센터
✅ 6. 근로·자립 지원
6-1. 육아휴직 (한부모 전용)
- 최대 18개월까지 육아휴직 가능
- 월 최대 250만 원 지원
- 고용보험 가입자 대상
6-2. 창업·취업 지원
- 직업훈련수당 지원
- 창업자금 최대 5천만 원 보증
- 중신용자 대출 우대
- 신청처: 한국미소금융재단 등
꼭 기억하세요! 한부모가정 혜택 신청 팁!!
중복 수급 | 아동수당, 부모급여와 중복 가능. 단, 양육수당과는 중복 불가 |
기본 서류 |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, 소득재산 확인서, 통장사본 |
주거·교육·창업 | 별도 증빙서류 필요 (임대차 계약서, 학교 재학증명 등) |
신청 시기 | 현금급여는 연중 상시 접수 / 주거 임대는 공고 시기 확인 필수 |
변경 신고 | 소득·재산·주소 변경 시 30일 이내 신고 필수, 미신고 시 환수 가능 |
“혼자 키우지만, 혼자일 수 없는 이유”
한부모 가정이 놓치기 쉬운 복지혜택,
지금은 서류 몇 장만 준비하면 온라인으로 10분 안에 신청 가능합니다.
마무리 한 줄 요약
"신청 안 하면 0원, 신청하면 매달 20만 원 이상"
정부 지원은 찾는 사람의 몫입니다.
이번 달 안에 주민센터나 복지로에서 꼭 확인해보세요!
반응형